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네 번째 용어복습 및 렌즈 분류 이전 이야기 ☞ 셔터 (http://blog.daum.net/ohzart1/92) 1) 용어 복습 렌즈의 종류나 Spec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어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지난 번 대형카메라 이야기 4번째 용어(2)편(http://blog.daum.net/ohzart1/22)에서 다루어 졌지만, 중요한 세 가지만 다시 한 번 정리하도록 한다. 우선 위 그림.. 사진이야기 2019.12.06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세 번째 셔터 이전 이야기 ☞ 렌즈 보드(Lens Board) (http://blog.daum.net/ohzart1/91) 소형이나 중형의 경우에는 바디나 렌즈에 셔터가 장착되어 판매가 되기 때문에 셔터의 종류나 특징을 별로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대형 카메라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셔터가 .. 사진이야기 2019.12.06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두 번째 렌즈 보드(Lens Board) 이전 이야기 ☞ 렌즈의 구조 및 특징 (http://blog.daum.net/ohzart1/90) 그 다음 살펴 볼 내용이 렌즈 보드(Lens Board)이다. 대형 카메라는 그 오래된 역사가 말해 주듯이 아주 원초적인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렌즈가 있고 주름통이 있고 필름이 있는 단순하고도 직관적인 구조… 따라서 대형카메라.. 사진이야기 2019.12.04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첫 번째는 렌즈의 구조 및 특징 2013년에 11개의 에피소드로 대형카메라 이야기(http://blog.daum.net/ohzart1/19)를 불과 2주만에 한 숨에 적어내려가다 보니 중요하지만 너무 가볍게 다룬 것이 발견되었다. 사실 무브먼트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했던 의도도 있었기는 했지만, 지금와서 다시 읽어 보니 너무 많은 부분을 다루지 .. 사진이야기 2019.12.01
필름 포맷에 대하여... 필름 포맷에 대하여… 얼마 전에 호기심이 발동해서 110 Format을 영입하게 되었다. 단순히 카메라 한 대 추가하는 걸로 생각했지만, 포맷변경에 따른 부수적인 것들이 너무 많아서 깜짝 놀라게 되었다. 이에 필름 포맷에 대해서 알아보고, 포맷 변경에 따른 변화가 무엇들인지 살펴보고자 .. 사진이야기 2018.04.30
한글 음악 용어들... 한글 음악 용어들… 19세기에 서양문화 문물이 물 밀듯이 동양을 엄습하면서, 낯설은 용어들을 한자문화권에 번역한 것은 다름아닌 일본이었다. 이렇게 대부분의 학문분류들을 일본이 한자로 번역하였는데, 화학(化學), 물리(物理), 경제(經濟), 철학(哲學)… 이러한 단어들이 일본인에 의.. 음악이야기 2018.04.23
인화지로 직접 촬영하기 인화지로 직접 촬영하기 보통 암실에서 확대 노광에 사용되는 인화지를 이용하여 대형카메라에 직접 인화지를 넣고 촬영을 하는 작업을 평가하였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몇가지 선결되어야 하는 평가가 있다. 1) 인화지의 감도는? 2) 인화지의 노출관용도는? 3) 인화지의 상반칙불궤는? 이.. 사진이야기 2018.04.20
오석환 사진전 - Lith Print Collection(리스 인화전) 첫 개인전을 마쳤다. 정말 입에서 단내 나도록 암실에서 전시 준비를 했다. 끝내고 나니 아쉬움이 크다... 리스 인화란? 우선, 리스인화는 디지털인쇄기술이 발달되기 전에 사용되던 인쇄/제판용 리스필름과 다른 것이다. 리스 인화는 리스전용 현상액과 일반 필름을 이용한 암실 작업으.. 사진이야기 2018.04.01
현상액의 초가성성(超加成性, Supperadditivity) 현상액의 초가성성(超加成性, Supperadditivity) 이 초가성성은 Grant Haist에 의해 정의 되었는데, 초가성성의 메커니즘은 아래 그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선으로 그려진 직선은 Hydroquinone, Phenidone 각각의 현상 능력을 단순하게 합계한 것이다(가성성, 加成性, additivity). 특히 Hydroquinone은 흡착력.. 사진이야기 2018.02.26
Edge Effect & Eberhard Effect 아래 내용은 写真工学の基礎 ―銀塩写真編― ((社)日本写真学会編 )와 The Film Developing Cookbook(S. Anchell)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빛을 많이 받은 고노.. 사진이야기 201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