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야기

대형 카메라 이야기 - 두 번째는 대형의 종류

ohzart 2013. 2. 2. 09:25

 

이전 이야기 ☞ 대형의 매력 (http://blog.daum.net/ohzart1/19)


두 번째 이야기 - 대형의 종류

 

첫 번째 이야기에서 대형의 매력을 살펴보았는데... 아마도 사진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솔깃할 만한 매력이 흘러 넘치는 것이 대형카메라일 것이라 확신한다.

 

사실 대형카메라는 카메라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Camera Obscura라고 하는 사진술이 발명되면서 인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카메라를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요즘 우리가 대형카메라라고 부르는 형태이다.

 

 

 

사진이 처음 발명되었던 시절에는 좋은 품질의 렌즈를 만드는 광학기술도 없었고, 빛에 반응하는 감광물질에 대한 화학적인 지식도 많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양질의 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름이 커야만 했고 렌즈도 커야 했다. 그것이 바로 대형카메라였던 것이다. 이후 광학기술/화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작은 면적의 필름에서도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게되어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135포맷의 소형카메라인 것이다.

 

 

 

위의 사진은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한석규가 국산 대형카메라인 정우카메라를 가지고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장면이다. 요즘은 모두 디지털카메라로 바뀌어 있지만, 불과 10년전만해도 사진관에서 널리 애용되던 것이 대형카메라였던 것이다.

 

그럼 간단히 대형카메라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

 

1) 판형에 따른 구분

지난 편에서도 살펴 보았지만, 대형카메라는 렌즈의 이미지서클이 확보되고 필름이 존재한다면 이론적으로는 판형의 제약이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용화 되어 있는 카메라 중심으로 이야기 한다면 4x5inch, 5x7inch, 8x10inch, 11x14inch, 20x24inch 정도가 가장 흔한(?) 판형이라 할 수 있겠다. 각 판형별로 특징을 살펴 보도록 하자.

 

- 4x5inch : 가장 Popular한 포맷으로 카메라나 필름의 종류도 풍부하다. 상업적인 사진가들에게도 애용되고 있지만, 아마츄어에게도 많이 사랑받고 있는 포맷이다. 개인적으로 4x5포맷의 장점을 더 꼽으라고 한다면, 다양한 무브먼트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8x10포맷의 경우에는 과격한 무브먼트가 가능할 정도의 큰 이미지서클을 갖는 렌즈를 구하기도 어렵고 8x10카메라 자체가 대부분 필드형카메라이기 때문에 무브먼트의 제약도 많다.

 

- 5x7inch : 대형카메라 중에서 종횡비가 인쇄물의 기준규격과 가장 근접된 포맷으로, 일부 상업적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 8x10inch : 4x5inch 다음으로 많은 유저들이 있는 포맷. 아마츄어들 사이에서도 사용하는 층이 비교적 넓으며, 흑백 밀착을 즐기는 유저들에게 인기가 높음.

 

- 11x14inch : 화면이 넓어서 사용할 수 있는 렌즈가 매우 제한적인 점이 결점. 확대 인화는 불가능하지만, 11R 밀착인화가 보여주는 디테일과 박진감은 8x10inch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2) 용도에 따른 구분.

Linhof나 에보니 필드 카메라를 보면서 필자는 가끔 "누가 고민했는지 참 잘 만들었다..."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그 복잡한 구조를 조그마한 네모난 상자로 접을 수 있도록 해 놓았으니 말이다...

대형카메라는 용도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View Camera(일부 Studio Camera라고 부르기도 한다.) Field Camera이다.

 

 

 

 

위의 사진이 View Camera의 대표모델인 Sinar F2 Field Camera Ebony이다.

종류별 일반적인 특징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위의 비교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비교이고, 요즘 사용되는 Field Camera의 경우에는 Field Camera의 단점이라 여겨지던 부분들이 많이 보완되어서 위와 같은 획일적인 구분은 상당 부분 무의미해지기도 했다.

 

대형 카메라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 무게에 대한 부담이 클 수 있어서 각 모델별로 Body무게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본다.

 

 

다음 이야기 ☞ 대형의 용어와 개념 (http://blog.daum.net/ohzart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