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이야기 ☞ 광각렌즈 (http://blog.daum.net/ohzart1/96)
지금까지 광각렌즈/표준렌즈/망원렌즈에 대해서 알아 보았는데, 그 외에 다른 특수 목적을 갖는 렌즈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1) 접사렌즈
135포맷 같은 경우에는 렌즈에서 초점을 맞추게 설계가 되어 있어서, 보통의 렌즈들은 초점을 맞추기 위한 최단거리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일반 렌즈로는 접사 촬영이 설계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대형카메라의 경우에는 Bellows의 움직임으로 초점을 맞추게 설계가 되어 있어서 모든 렌즈로 접사 촬영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피사체에 가까운 거리로 다가갈수록 Bellows가 늘어나면서 초점이 맞게 되어 있다. (초점거리의 두배로 Bellows를 늘여서 촬영하면 1:1 접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표준렌즈는 일반적인 거리가 확보된 피사체에서는 아주 충분한 화질을 보장하지만, 매우 가까운 거리의 촬영에서는 여러 수차의 영향으로 화질의 저하가 발생한다. (아래 그림 참조) 이러한 화질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사와 같은 근접촬영을 위해 설계된 렌즈가 Macro Lens이다.
다만, Macro Lens를 이용해서 촬영을 할 경우에 Bellows가 늘어나는 만큼 촬상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노출 보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벨로우즈의 길이가 초점길이의 두 배로 늘어난 1:1 촬영의 경우에 Bellows의 길이가 원래의 두배가 되었으므로 거리가 2배 멀어지면 면적은 4배(길이의 제곱)가 늘어난 효과가 된다. 다시 말하면 노출을 4배 더 해 주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또한 이 Macro Lens는 일반적으로 표준렌즈에 비해서 아주 작은 Image Circle을 갖고 있어서 일반 촬영이나 무브먼트가 많은 촬영에는 주의를 해야 한다.
2) Convertible Lens
Convertible Lens는 앞뒤렌즈의 조합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렌즈와 조합하여 다른 초점거리를 갖도록 설계된 렌즈이다.
현존하는 가장 특징적인 Convertible Lens는 Nikon에서 제작된 망원렌즈타입의 렌즈로 뒷부분을 교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래 그림 참조)
3) Compact Lens
Lens설계의 최소한의 요건만 충족시킨 심플한 구조의 렌즈로 최대개방이 어두운 것이 단점이나 비교적 충분한 Image Circle을 갖고 있고 가격도 저렴한 것이 매력이며, 가볍고 컴팩트한 반면에 비교적 우수한 해상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성이 우수하다.
Nikon의 3군4매의 M-series 3종류(200mm f8, 300mm f9, 450mm f9)와 Fujinon(아래 그림 참조)의 4군4매구성의 C-Series의 3종류(300mm f8.5, 450mm f12.5, 600mm f11.5)가 구매 가능하다. 필자도 Nikon 300mm f9와 450mm f9의 두개의 렌즈를 운영 중이며 필드에서 사용하기에 발군의 능력을 보여 주고 있다.
4) Barrel Lens
아주 오래된 렌즈 중에서 셔터가 달려있지 않고 렌즈 경통형태로 존재하는 렌즈를 Barrel Lens라 부른다. 이러한 렌즈들은 표준화된 규격일 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시판되는 렌즈보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별도의 렌즈 보드를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셔터도 기성품 셔터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개조를 통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사실 이러한 렌즈가 사용되던 시절에는 필름의 감도가 워낙 낮아서 촬영에 몇 초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별도의 셔터가 필요없이 렌즈 앞을 판대기로 가렸다 열었다 하는 것으로 노광시간을 조절했었다.
또한 이런 렌즈들 중의 일부는 별도의 조리개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렌즈 중앙부위에 별도로 제작된 조리개를 삽입하여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올드 렌즈에 관심있는 사진가들이 고생스러움을 마다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11x14이상의 포맷에서는 렌즈를 구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서 이런 Barrel Lens이외에는 Solution이 없는 경우도 있다.
아래 링크와 같이 예전 렌즈를 개조하여 보드와 셔터를 부착해 주는 서비스가 있으니 혹시 필요하신 분은 참조 하시길…
http://skgrimes.com/lens-mounting/table-of-lenses-fitted-to-shutters
5) Digital용 렌즈
앞서 살펴 본대로 대형카메라의 특징 중의 하나인 필름이 큰 이유 때문에 렌즈의 성능이 다소 안 좋더라도 최종 결과물에서 화질의 열화를 느끼지 않는 매력이 있다. 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대형 카메라 렌즈들이 요즘 사용되는 소형카메라의 렌즈와 비교하면 광학적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형카메라의 바디에 Digital Sensor를 부착하여 고화소 Digital 촬영을 하는 경우에 기존의 대형카메라 렌즈로는 화질의 열화를 피할 수 없어서, Digital 촬영에 맞게 설계된 렌즈가 존재한다. 고화질을 위한 설계로 인해서 Image Circle은 다른 대형카메라 렌즈에 비해서 다소 작은 단점이 있다.
6) 확대기렌즈를 이용한 촬영
사실 확대기 렌즈는 개조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모든 포맷의 카메라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35포맷의 인화에 사용되는 50mm렌즈는 135카메라에 촬영에도 가능하다(마운트할 수 있고, 포커스를 맞추는 별도의 개조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따라서 대형카메라에서도 대형카메라 인화에 사용되는 확대기 렌즈를 이용해서 촬영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위에서 살펴본 Barrel Lens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보드를 제작해야 하고 셔터도 부착해야 한다. (조리개는 달려있으니 별도 조리개는 필요없고…)
7) 그 외에...
핀홀 카메라도 가능하고 소프트렌즈도 시판되고 있지만, 경험도 없고 관련된 내용을 찾기도 어려워서 본 리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이야기 ☞ 메이커별 렌즈 (http://blog.daum.net/ohzart1/98)
'사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마지막 마무리 및 렌즈 선택 Tip (0) | 2019.12.08 |
---|---|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아홉 번째 Maker별 렌즈 (0) | 2019.12.08 |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일곱 번째 광각렌즈(Wide-angle Lens) (0) | 2019.12.08 |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여섯 번째 망원렌즈(Telephoto Lens) (0) | 2019.12.08 |
대형카메라 렌즈 이야기 – 다섯 번째 표준렌즈(Normal Lens) (0) | 201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