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야기

필름 포맷별 초점심도 비교

ohzart 2010. 2. 24. 20:56

중형을 거쳐 대형으로 오면서

점점 더 촛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 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특히 대형은 팬포커스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서

촛점 맞추는데만 10분가까이 걸리는 경우가 허다한데....

 

또한 렌즈도 아무리 밝아야 f5.6이하는 거의 찾기가 힘들다...

 

135 format에서 f1.2와 같은 밝은 렌즈를 사용하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뭐야 이렇게 어두운 렌즈로 out focus를 만들수 있는거야???

 

하는 의문을 갖는 것도 무리가 아니리라

 

그러나 피사체의 초점 심도는 대부분 4가지의 변수에 의해서 결정이 되는데

 

1)    조리개의 밝기

2)    피사체와의 거리

3)    렌즈의 초점거리

4)    촬영면의 넓이(Film Format)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Circle of Confusion이라는 개념이 필요하지만, 다소 복잡한 내용이어서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고

 

필름 포맷별로 어떤 초점심도를 갖는지 비교해 보기로 한다.

 

이 비교에서는 각 필름 포맷별로 표준렌즈(135기준 50mm수준)의 화각을 기준으로 비교하도록 한다.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4x5 대형 포맷의 f5.635mm Film에서 f2.0수준의 초점심도와 동일한 초점 심도를 갖게 되는 어마어마하게 초점 맞추기 힘든 렌즈가 된다.

 

또한 8x10 대형의 경우에 f8의 렌즈는 35mm f1.0과 동일한 수준의 초점심도를 갖는 어마어마한 out focus가 가능한 렌즈가 된다.

 

 

 

 

뒤집어 이야기 하면 이런 렌즈로 pan focus를 하기란 어지간한 훈련이 없이는 힘든 일이라는 이야기도 되는 셈

 


그럼 각 포맷별로 광각-표준-망원에서의 촛점심도를 살펴보기로 하자...

아래 각 포맷별 광각/표준/망원은 모두 같은 화각을 같는 촛점거리로 세팅되었다.


우선 영원한 Standard인 135 format







다음은 중형 포맷인 6x6 centimeter







최대 개방 렌즈가 135포맷의 f/1.4가 아니라  f/2.8인 점을 유념해 주시길....




그 다음은 대형 포맷인 4x5inch...





마찬가지로 최대 개방 조리개가 f/4인 점을 유념하시길...


마지막으로 8x10inch...





역시 최대개방이 f/5.6으로 바뀐 점을 주의해서 보시길...




 

참조 :

             http://www.cambridgeincolour.com/tutorials/depth-of-field.htm#calculator

             http://en.wikipedia.org/wiki/Depth_of_field

             http://en.wikipedia.org/wiki/Depth_of_field#Derivation_of_the_DOF_formulas

             http://en.wikipedia.org/wiki/Circle_of_confusion

'사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m / Developer별 Grain 관찰  (0) 2010.05.05
필름별 입자 비교  (0) 2010.03.14
상반칙불궤(Reciprocity Failure Law)  (0) 2010.02.25
흑백 필름에 대하여  (0) 2010.02.14
Digital ICE에 대해서...  (0) 2010.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