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야기

흑백 필름에 대하여

ohzart 2010. 2. 14. 11:17

Monochrome Film 대해서

- Film
구조

일반적으로 Monochrome Film 아래의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지지체(Filmbase)로서는 Acetate 또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 사용된다.

-  Monochrome Film
종류


1) Conventional Film(
종래형유제
)
Tri-X
AGFAPAN 같이 예전부터 있던 Halogen()은입자(銀粒子) 사용한 monochrome 의미한다
.
국산(일본)으로는 NeopanSS,  KonicapanSS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Tri-X
같이 벌서 50년의 세월이 경과해서 지금까지 제품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앞선 사람들의 data 활용할 있어, 오차없는 처리가 지속적으로 가능하여 작품용으로 사용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됨
.

2) Tabular Film
Kodak
1980년대초에 발표해서 화제가된 T입자라고 불리우는 Halogen화은입자를 이용한 Monochrome Film 필름이다. Monochrome 신세대유제이다
.
T
입자는 당시의 사진업계에서는 대단한 화제가 기술로, 동일한 Halogen화은입자이면서도 6각형의 평판형으로 입자의 결정표면이 요철된 형상의 Halogen화은입자이다
.
이것은 빛을 보충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하고있어, 입자의 단면적(투영면적) 같으면 표면적이 종래의 것보다 크게 되는 형태가 실현된 Halogen화은입자이다
.
다시 말해서, 입자성은 그대로를 유지하며 고감도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
이러한 Halogen화은입자를 세계 최초로 발표하여 당사의 충격은 엄청난 것으로서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
이러한 Halogen화은입자를 타사에서도 뒤이어 개발해서, ILFORD에서도 Delta-Series, Fujifilm에서는 ACROS 개발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3) Chromogenic Film
Color Negafilm
현상 process Kodak C41 Process 의한 현상이 가능한
Film.
가까운 동네 현상소에서 처리가 가능한 간편함으로 Monochrome 즐길 있다
.
현재 Kodak 400BW,  ILFORD XP-super 종류
.
종류 모두 감도가 400이지만, 200으로 촬영하는 것이 입자감이 좋은 Nega 얻을 있으나, 대신 농도가 높아서 노광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단점
.

4) Document Film
Fujifilm
Minicopy HRII 대표로 하는 미립자 저감도 High Contrast Film으로, 문서의 복사 목적으로 만들어진 필름
.
지금은 Zerox방식의 Copy 문서의 복사에 당연한 듯이 사용되어, 목적의 필름은 사라진 상황
.
저감도로 입자성이 매우 높은 특성을 갖고 있어
,
고대비(High Contrast) 특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POTA등의 Super Low Contrast 현상액을 사용해서 일반촬영의 고선예도미립자상을 얻을 있기도 했다
.
이러한 필름 중에서, Kodak Technical PAN(TP) 경우에는 감도도 높은 편이었다
.
그러나 Technical PAN 경우에 안타깝게도 2004 제조 중지되어 이제는 없게 되었다
.
필름이 없어지게 것은 사진계로서는 손실이라고 생각한다
.
Kodak
수주생산이라도 좋으니 가끔 생산해 주길
...

5) Reversal Film
AGFA
SCALA Film Monochrome Reversal Film으로 계조가 풍부한 Monochrome Reversal 얻을 있다. 단점은 매우 Cost 높은
.
외에는 T-MAX 반전 현상하여 Monochrome Reversal 얻을 있으나, 그리 일반적이지는 않다.

 

 

출처 : http://homepage1.nifty.com/ngc/Darkroom/Tech/Tech_film.htm

 

 

-  Monochrome Film 종류 (Format 따른)
 

1) 135 Format (Roll Film)

소형 카메라의 주류로 되어 있는 필름 사이즈. 135필름 또는 35mm(정확히는 24x36mm)필름이라고 불리움. Leica 최초로 채용하여서 라이카판이라고도 불리움. 36, 24, 20, 12매가 있음.

 

2) 120 Size Roll Film

통칭 6x4.5, 6x6, 6x7, 6x8, 6x9츠판 촬영용 필름으로, 브로니(brownie)필름이나 2B 필름으로 불리움.

 

3) 220 Size Roll Film

필름의 , Spool 크기도 모두 120필름과 동일하나 필름의 부분에 Lead Paper 없어 촬영매수가 2배가 되어 있는 필름.

 

4) Sheet Film

1매씩 절단된 Sheet상태로 사진을 촬영하는 필름. 대형 포맷(4x5, 5x7, 8x10, 11x14) 사용되며 Cut Film이라고도 불리움.

 

출처 : 大判寫眞入門(玉田 )

 

'사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m / Developer별 Grain 관찰  (0) 2010.05.05
필름별 입자 비교  (0) 2010.03.14
상반칙불궤(Reciprocity Failure Law)  (0) 2010.02.25
필름 포맷별 초점심도 비교  (0) 2010.02.24
Digital ICE에 대해서...  (0) 2010.02.05